다차원리스트
다차원리스트는 복잡한 구조의 데이트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다.
그런 데이터가 뭐가 있을까?
바로 3차원 이미지!!
이미지(픽셀)은 RGB 3개의 값으로 구성되어있는데,
[0, 255, 0] -> r 없고, g 255, b 없고 -> 완전 초록색인 픽셀
[90, 80, 75] -> r의 세기 90, g는 80, b는 75 -> 픽셀
이렇게 구성되어있다. (수학에서 x,y,z 좌표라고 생각하면 되겠지?)
이런 픽셀이 모여서 선이 되고 모인 선이 면, 면이 차원이 된다.
결국, 이미지는 리스트로 계속 나열이 된다.
리스트를 요소로 갖는 리스트가 다차원리스트
a= [[1,2,3], [4,5,6]]
print(a[0])
print(a[1])
out)
[1, 2, 3] [4, 5, 6] |
a= [[1,2,3], [4,5,6]]
for i in a: #2번반복, a의 원소가 2개니까
for j in i: #[1,2,3] 약간 멱집합!
print(j, end=' ')
print()
for i in range(0, len(a)):
for j in range(0, len(a[i])):
print(a[i][j], end=' ')
print()
out) 둘 다 같은 결과
1 2 3 4 5 6 |
다차원리스트는 집합 안에 집합이 있는 멱집합 같은 것~~
#a의 모든 요소들을 10배로 늘려주자.
a= [[1,2,3], [4,5,6]]
for i in range(0, len(a)):
for j in range(0, len(a[i])):
a[i][j] *=10
for i in a:
for j in i:
print(j, end=' ')
print()
out) 둘 다 같은 결과
10 20 30 40 50 60 |
#요소 입력받아 저장
for i in range(0, len(a)):
for j in range(0, len(a[i])):
a[i][j]=int(input('num:'))
print(a)
out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