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술연산자
a=10
b=20
c=0
c=a+b
print(a, "+", b, '=', c)
c=a-b
print(a, "-", b, '=', c)
c=a*b
print(a, "*", b, '=', c)
c=a/b
print(a, "/", b, '=', c)
c=a//b
print(a, "//", b, '=', c)
c=2**3
print('2**3=', c)
c= 5%2
print('5%2=', c)
out)
10 + 20 = 30
10 - 20 = -10
10 * 20 = 200
10 / 20 = 0.5
10 // 20 = 0
2**3= 8
5%2= 1
산술연산자는 우리가 알고 있는 기본 사칙연산들이다.
+(더하기), -(빼기), *(곱하기), /(나누기), **(거듭제곱), %(나머지), //(몫)
연산의 순서는 초등학생 때 배우는 사칙연산과 동일하다.
논리연산자
논리 연산은 불린연산(Boolean operation)이라고도 한다. 참 또는 거짓을 이용해 연산을 진행한다.
A and B (A와 B 모두 참일때만 참, 모두 거짓이면 거짓)
A or B (A와 B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, 둘다 거짓이면 거짓)
not A (A가 참이면 거짓, 거짓이면 참)
비교연산자
== (같다)
!= (같지 않다)
< (작다)
> (크다)
<= (작거나 같다)
>= (크거나 같다)
참고로 = 은 '대입'이라는 뜻임.
'파이썬이 제일 쉽다면서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#제어문 (if, if-else, if - elif - elif - else) (0) | 2021.06.01 |
---|---|
python #연습문제 (0) | 2021.06.01 |
python #3.input과 print (1) | 2021.06.01 |
Python #1. 변수 (0) | 2021.06.01 |
python #연습문제: 별표찍기 (0) | 2021.06.01 |